티스토리 뷰

안녕하십니까? 잔디머리입니다.

저번엔 천문학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한자어로 된 천문학을 말했었는데요.

오늘은 Astronomy(천문학)에 대한 어원과 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천문학의 영어 낱말 astronomy 은 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astron 과 법칙, 문화를 뜻하는 nomos 유래했는데, 문자 그대로 "별의 법칙"(또는 별의 문화)를 의미합니다.

한자로 해석했던 것과 다른 맛의 감성이 느껴지는 것 같네요. 하늘의 문자와 별의 법칙(혹은 문화)

뭔가 동양이 문과 감성이라면 서양은 역시 이과 감성인 듯 싶습니다.ㅎㅎ

그리고 이 천문학은 점성술학과 공통된 근원을 갖고 있지만 혼동하시는 분들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별로 사람들의 인생과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점성술학의 경우 저도 흥미는 있지만 별들의 법칙을 다루는 천문학과는 아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까요. 나중에 시간이 나면 이것도 포스팅하고 싶네요

 

자 이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천문학(astronomy)과 천체물리학(astrophysics)은 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엄밀한 사전적 의미에 따르면, 천문학은 "지구 대기 밖의 물체들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천체물리학은 "천문학의 한 분야로서 천체 및 천문현상의 물리적, 운동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가 되겠습니다.

한마디로 천문학이 지구 밖의 모든 물질의 것에 대한 것이라면 천체물리학은 천체와 천문현상에만 집중한 학문입니다.

천문학과 천체 물리학은 이런 관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한편, 천문학 개론서로 저명한 "물리적인 우주(The Physical Universe)"는 "천문학"은 우주·천체·천문현상을 정성적으로 기술하는 분야를, "천체물리학"은 이러한 대상을 보다 물리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는 분야을 의미하는데 쓰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측성학 같이 전통적인 천문학에 가까운 분야도 있는 반면, 대부분의 현대 천문학 연구는 물리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므로, 천문학은 실제로는 천체 물리학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여러 대학이나 연구소는 주로 역사적인 이유나, 구성원들의 가지고 있는 학위 등에 따라서 종종 천문학과나 천체물리학과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예를들어 천문학과가 역사적으로 물리학과와 같이 붙어 있었다면, 주로 천체물리학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저명한 천문학 저널로는 유럽의 천문학과 천체물리학(Astronomy and Astrophysics)과 미국의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천문학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이 있습니다.

 

오늘은 천문학(Astronomy)의 어원과 용어 그리고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내일도 천문학에 대한 지식으로 여러분을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이란  (0) 2019.11.2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